📖 왜도란 정의 왜도(skewness)란 데이터 분포가 평균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인지 여부와 비대칭의 방향을 나타내는 통계량입니다. 왜도는 데이터의 분포 모양을 수치로 표현하는 지표입니다. 정확히는, 분포가 평균을 기준으로 어느 쪽으로 더 멀리 뻗어 있는지를 나타내며, 분포의 비대칭성을 수량화합니다. 왜도의 값은 다음과 같이 해석합니다. 왜도가 $0$이면 데이터가 대칭 분포임을 의미합니다. 왜도가 양수이면 데이터의 오른쪽 꼬리가 더 길어져 오른쪽으로 치우친 비대칭 분포입니다. 왜도가 음수이면 데이터의 왼쪽 꼬리가 더 길어져 왼쪽으로 치우친 비대칭 분포입니다. 예를 들어, 시험 점수 데이터에서 대부분이 $70$점 근처에 ..

🔷 범주형 자료 입문💡 범주형 자료란?숫자로 계산할 수 없고, 서로 다른 집단을 구분하는 데 사용되는 자료입니다.자료를 다룰 때는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하나는 계산이 가능한 자료이고, 다른 하나는 계산이 불가능한 자료입니다. 계산이 가능한 자료는 크고 작음을 비교할 수 있고, 더하거나 빼거나 평균을 낼 수 있습니다. 계산이 불가능한 자료는 서로 다름만 나타낼 뿐, 계산이 의미가 없습니다.다음 표를 보면서 두 자료의 차이를 비교해 보겠습니다. 학생 키(cm) 혈액형 1170A 2160B 3180O 4165A 5175AB 여기서 ‘키’는 170, 160처럼 크고 작음을 비교할 수 있고, 두 사람의 차이를 계산하..
UML의 관계: 의존, 연관, 일반화✅ UML 정의UML(Unified Modeling Language)시스템의 구조와 동작을 시각적으로 표현하기 위한 표준화된 모델링 언어입니다.소프트웨어 설계 시 클래스 간의 구조적 관계를 명확히 표현하고, 설계 의도를 전달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UML의 필요성시스템의 복잡한 구조를 명확히 시각화하여 이해를 돕습니다.개발자 간의 의사소통을 원활하게 합니다.설계의 일관성을 유지하고 유지보수성을 높입니다.✅ UML 관계UML 클래스 다이어그램에서는 클래스 간의 관계를 표현합니다.여기에서는 가장 기본적인 세 가지 관계를 다룹니다.의존(Dependency)연관(Association)일반화(Generalization)각 관계는 정의 → 다이어그램 → 주체/대상 → 설명 → 예..
- Total
- Today
- Yesterday
- 알고리즘기초
- 알고리즘
- 동적계획법
- 알고리즘문제풀이
- python 알고리즘
- 코딩 테스트
- 문제 풀이
- 파이썬
- c++알고리즘
- 백준
- 객체지향
- 코딩테스트
- C++ 알고리즘
- 문제풀이
- 그래프 탐색
- 그리디
- 문자열처리
- 동적 계획법
- 알고리즘 문제풀이
- dfs
- DP
- 인접 행렬
- c언어
- C++
- 파이썬코딩
- 프로그래밍
- Python
- 그리디알고리즘
- 브루트포스
- 코딩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