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UML의 관계: 의존, 연관, 일반화
✅ UML 정의
UML(Unified Modeling Language)
시스템의 구조와 동작을 시각적으로 표현하기 위한 표준화된 모델링 언어입니다.
소프트웨어 설계 시 클래스 간의 구조적 관계를 명확히 표현하고, 설계 의도를 전달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 UML의 필요성
- 시스템의 복잡한 구조를 명확히 시각화하여 이해를 돕습니다.
- 개발자 간의 의사소통을 원활하게 합니다.
- 설계의 일관성을 유지하고 유지보수성을 높입니다.
✅ UML 관계
UML 클래스 다이어그램에서는 클래스 간의 관계를 표현합니다.
여기에서는 가장 기본적인 세 가지 관계를 다룹니다.
- 의존(Dependency)
- 연관(Association)
- 일반화(Generalization)
각 관계는 정의 → 다이어그램 → 주체/대상 → 설명 → 예시 코드 순으로 설명합니다.
🔷 의존 관계 (Dependency)
정의
한 클래스(주체)가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다른 클래스(대상)의 정의를 참조하며, 대상의 변경이 주체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
대상 객체를 내부에 저장하지 않고, 일시적으로만 참조합니다.
UML 다이어그램
[Printer] - - - - - -→ [Document]
(점선 화살표)
주체와 대상
- ✅ 주체: Printer
- ✅ 대상: Document
Printer
가 Document
에 의존합니다.
Printer
는 Document
가 제공하는 메서드를 사용해야 동작할 수 있지만, Document
를 소유하지는 않습니다.
설명
의존 관계는 두 클래스 간의 결합이 약합니다.
주로 메서드 파라미터나 지역 변수로 대상 클래스의 인스턴스를 받아 잠깐 사용하는 상황에서 발생합니다.
예시 코드
class Document { public: void render(); }; class Printer { public: void print(Document doc) { doc.render(); } };
🔷 연관 관계 (Association)
정의
한 클래스(주체)가 다른 클래스(대상)의 인스턴스를 속성으로 보유하며, 장기간 참조하는 관계.
객체 간의 지속적인 연결을 나타냅니다.
UML 다이어그램
[Teacher] ──────────→ [Student]
(실선)
주체와 대상
- ✅ 주체: Teacher
- ✅ 대상: Student
Teacher
가 Student
를 속성으로 가지고 있습니다.
Teacher
는 Student
객체를 내부 상태로 지속적으로 유지하며 참조합니다.
설명
연관 관계는 의존 관계보다 강한 결합을 가집니다.
주체가 대상의 인스턴스를 소유하여 상태로 유지하고, 작업마다 지속적으로 사용합니다.
예시 코드
class Student { public: std::string name; }; class Teacher { public: Student* student; };
🔷 일반화 관계 (Generalization)
정의
한 클래스(주체)가 다른 클래스(대상)의 속성과 행동을 상속받아 계층을 형성하는 관계.
부모-자식 관계이며, 코드 재사용성과 다형성을 구현합니다.
UML 다이어그램
[Dog] ▲ │ [Animal]
(실선 + 빈 삼각형)
주체와 대상
- ✅ 주체: Dog
- ✅ 대상: Animal
Dog
가 Animal
을 상속받습니다.
Dog
는 Animal
의 특성과 기능을 물려받아 사용하거나 확장합니다.
설명
일반화 관계는 계층적 구조를 형성하고, 코드의 재사용성을 높입니다.
하위 클래스가 상위 클래스의 정의를 기반으로 동작합니다.
예시 코드
class Animal { public: void eat(); }; class Dog : public Animal { public: void bark(); };
✅ 요약 및 비교
관계명 | 정의 | UML 표기 | 주체 → 대상 | 관계 강도 |
---|---|---|---|---|
의존 | 정의에 영향을 받는 일시적 참조 | 점선 화살표 | Printer → Document | 약함 |
연관 | 속성으로 보유하며 지속적으로 참조 | 실선 | Teacher → Student | 중간 |
일반화 | 상속 계층을 형성 | 실선 + 빈 삼각형 | Dog → Animal | 강함 |
- ✅ 의존: 작업 시 대상의 정의를 잠시 사용함, 소유하지 않음
- ✅ 연관: 대상의 인스턴스를 속성으로 가지고 있음
- ✅ 일반화: 대상의 정의를 상속받아 계층을 형성
반응형
'정보처리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데이터그램 방식과 가상 회선 방식: 자세한 설명 (0) | 2025.07.08 |
---|---|
소프트웨어 설계의 응집도: 기능적 응집, 순차적 응집, 교환적 응집, 절차적 응집, 시간적 응집, 논리적 응집, 우연적 응집 (0) | 2025.07.07 |
URL의 구조와 의미: 완전 정리! 인터넷 주소, 프로토콜, 도메인, 경로, 질의 문자열, 프래그먼트 (1) | 2025.07.05 |
데이터베이스 키, 슈퍼키, 후보키, 기본키, 대체키, 외래키 총정리! (0) | 2025.07.04 |
스머프 공격(Smurf Attack) - 원리와 대응법 (1) | 2025.07.03 |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
TAG
- 문제풀이
- 코딩테스트
- DP
- 코딩
- 파이썬코딩
- 문제 풀이
- 알고리즘
- 그래프 탐색
- C++
- 그리디
- c언어
- 코딩 테스트
- 동적 계획법
- 문자열처리
- 동적계획법
- 객체지향
- 인접 행렬
- Python
- 그리디알고리즘
- 알고리즘 문제풀이
- 백준
- 프로그래밍
- 브루트포스
- python 알고리즘
- 알고리즘문제풀이
- 파이썬
- 알고리즘기초
- c++알고리즘
- dfs
- C++ 알고리즘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글 보관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