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언어 2차원 배열과 포인터 정리📌 2차원 배열의 메모리 구조2차원 배열을 선언합니다:int arr[3][3] = { 1, 2, 3, 4, 5, 6, 7, 8, 9};메모리 안에는 이렇게 저장됩니다:[1][2][3][4][5][6][7][8][9]즉, row-major order로 1차원 배열처럼 일렬로 저장됩니다.그렇다면 여기서 arr[1]에 저장된 값은 일렬로 저장된 배열에서처럼 2가 저장돼 있을까요? 이를 하나씩 살펴보기로 합니다.📌 포인터가 가리키는 위치2차원 배열에서 포인터로 접근할 때, 표현에 따라 가리키는 의미가 달라집니다.🔷 arrarr는 배열의 이름이고, 타입은 int[3][3]입니다.하지만 포인터처럼 쓰일 때는 첫 번째 행 전체의 주소입니다.즉:arr ≡ &a..
🧭 포인터 증감 연산 완전정복: 배열 위를 걷는 화살표C언어를 배우다 보면 가장 많이 하는 질문 중 하나가 있습니다.“왜 p++을 하면 값이 커지는 게 아니라 다음 데이터를 가리키는 것인가요?”이 글에서는 그 질문에 답하기 위해 포인터가 무엇인지, 증감 연산이 어떻게 동작하는지, 메모리에서의 움직임을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풀어 설명합니다.중간중간 표와 다이어그램으로 현재 상태를 시각화하되, 본문 설명이 중심이 되도록 구성했습니다.📌 포인터란?포인터는 값이 아닌, 값이 저장된 메모리의 주소를 저장하는 변수입니다.예를 들어 int x = 42;일 때, &x는 x가 저장된 메모리의 주소입니다.이 주소를 담는 변수가 포인터이며, int* p = &x;라고 선언합니다.p는 x의 위치를 가리키며, *p라..
📖 첨도란 정의 첨도(kurtosis)란 데이터 분포가 평균을 기준으로 중심에 얼마나 집중되어 있고, 꼬리가 얼마나 두껍거나 얇은지를 나타내는 통계량입니다. 첨도는 데이터 분포의 모양을 수치로 표현하는 지표입니다. 정확히는, 데이터가 평균 근처에 얼마나 많이 모여 있는지, 그리고 평균에서 멀리 떨어진 꼬리 부분이 얼마나 두꺼운지를 종합적으로 수량화합니다. 첨도의 값은 다음과 같이 해석합니다. 첨도 = $3$ → 정규분포와 같은 형태, 기준값 첨도 > $3$ → 중심이 뾰족하고 꼬리가 두꺼운 분포 첨도 첨도는 흔히 분포를 산 모양에 비유하기도 합니다. 정규분포는 표준적인 산 모양으로, 첨도가 $3$입니다. 중..
- Total
- Today
- Yesterday
- 알고리즘기초
- 동적계획법
- 알고리즘
- 코딩
- c++알고리즘
- 동적 계획법
- 코딩 테스트
- 문제 풀이
- 알고리즘문제풀이
- 객체지향
- dfs
- C++
- 문자열처리
- Python
- 코딩테스트
- C++ 알고리즘
- 파이썬
- 그래프 탐색
- 그리디알고리즘
- 문제풀이
- python 알고리즘
- DP
- 인접 행렬
- 백준
- c언어
- 파이썬코딩
- 알고리즘 문제풀이
- 프로그래밍
- 그리디
- 브루트포스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