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 FIFO 페이지 교체 알고리즘
📖 페이지 교체란 무엇인가?
컴퓨터는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 메모리에 데이터를 불러와서 작업합니다.하지만 메모리의 크기는 무한하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메모리가 동시에 최대 3개의 데이터만 저장할 수 있다고 가정했을 때, 새로운 데이터를 불러와야 하면 기존 데이터 중 하나를 내리고 그 자리에 새로운 데이터를 올려야 합니다.
이때 어떤 데이터를 내릴지를 결정하는 규칙을 페이지 교체 알고리즘이라고 합니다.
이 글에서는 그중에서도 가장 단순하고 기본적인 FIFO (First In First Out) 알고리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FIFO란 무엇인가?
FIFO는 영어로 First In First Out, 즉 먼저 들어온 것이 먼저 나간다는 뜻입니다.줄을 서서 기다리는 상황을 생각해 보면 쉽습니다.
가장 먼저 줄에 선 사람이 가장 먼저 처리되고, 가장 늦게 줄 선 사람은 가장 늦게 처리됩니다.
FIFO는 이 원리를 그대로 메모리에 적용한 것입니다.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 중에서 가장 오래 전에 들어온 데이터를 제거하고, 그 자리에 새로운 데이터를 넣습니다.
📖 FIFO가 왜 필요한가?
메모리에서 데이터를 무작위로 지우면 성능이 크게 떨어질 수 있습니다.방금 전에 들어온 중요한 데이터를 지우면 바로 다시 불러와야 하기 때문입니다.
FIFO는 규칙이 단순하고 구현이 쉽기 때문에, 운영체제 입문 단계에서 널리 사용됩니다.
하지만 자주 사용되던 데이터라도 오래됐다는 이유만으로 제거될 수 있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 FIFO의 작동 원리
FIFO의 동작은 매우 단순합니다.- ✅ 메모리에 데이터가 들어올 때마다 순서를 기록합니다.
- ✅ 메모리에 여유가 있으면 새로운 데이터를 넣습니다.
- ✅ 메모리가 가득 찼다면, 가장 오래된 데이터를 제거합니다.
- ✅ 새로운 데이터는 항상 가장 최근 위치에 추가됩니다.
중요: 메모리 상태를 표로 표현할 때는 항상 왼쪽이 가장 오래된 데이터이고, 오른쪽이 가장 최근에 들어온 데이터입니다.
예: [7, 0, 1]
→ 가장 오래된 데이터는 7
, 가장 최신 데이터는 1
📖 예시로 배우기
이제 구체적인 예시를 통해 FIFO가 어떻게 동작하는지 단계별로 살펴보겠습니다.📄 전제 조건
- 메모리 크기: 3개(프레임 3개)
- 페이지 참조 순서:
7, 0, 1, 2, 0, 3, 0, 4데이터를 불러올 때 메모리에 없으면 페이지 폴트, 메모리에 있으면 페이지 히트가 발생합니다.
📖 단계별 과정 — 매 단계마다 남은 데이터부터 보기
🔷 1단계
- 📜 남은 참조 순서:
7, 0, 1, 2, 0, 3, 0, 4
- 🔗 이번에 불러올 데이터:
7
- 행동: 메모리에
7
이 없으니 추가합니다. (페이지 폴트) - 📌 메모리 상태:
[7]
🔷 2단계
- 📜 남은 참조 순서:
0, 1, 2, 0, 3, 0, 4
- 🔗 이번에 불러올 데이터:
0
- 행동: 메모리에
0
이 없으니 추가합니다. (페이지 폴트) - 📌 메모리 상태:
[7, 0]
🔷 3단계
- 📜 남은 참조 순서:
1, 2, 0, 3, 0, 4
- 🔗 이번에 불러올 데이터:
1
- 행동: 메모리에
1
이 없으니 추가합니다. (페이지 폴트) - 📌 메모리 상태:
[7, 0, 1]
🔷 4단계
- 📜 남은 참조 순서:
2, 0, 3, 0, 4
- 🔗 이번에 불러올 데이터:
2
- 행동: 메모리가 가득 찼습니다. 가장 오래된
7
을 제거하고2
를 넣습니다. (페이지 폴트) - 📌 메모리 상태:
[0, 1, 2]
🔷 5단계
- 📜 남은 참조 순서:
0, 3, 0, 4
- 🔗 이번에 불러올 데이터:
0
- 행동:
0
은 메모리에 이미 있습니다. (페이지 히트) - 📌 메모리 상태:
[0, 1, 2]
🔷 6단계
- 📜 남은 참조 순서:
3, 0, 4
- 🔗 이번에 불러올 데이터:
3
- 행동: 메모리가 가득 찼습니다. 가장 오래된
0
을 제거하고3
을 넣습니다. (페이지 폴트) - 📌 메모리 상태:
[1, 2, 3]
🔷 7단계
- 📜 남은 참조 순서:
0, 4
- 🔗 이번에 불러올 데이터:
0
- 행동: 메모리가 가득 찼습니다. 가장 오래된
1
을 제거하고0
을 넣습니다. (페이지 폴트) - 📌 메모리 상태:
[2, 3, 0]
🔷 8단계
- 📜 남은 참조 순서:
4
- 🔗 이번에 불러올 데이터:
4
- 행동: 메모리가 가득 찼습니다. 가장 오래된
2
를 제거하고4
를 넣습니다. (페이지 폴트) - 📌 메모리 상태:
[3, 0, 4]
📖 최종 결과
- 최종 메모리 상태:
[3, 0, 4]
- 페이지 폴트 발생 횟수: 7회
- 페이지 히트 발생 횟수: 1회
📖 FIFO의 장점과 단점
장점
- ✅ 규칙이 단순하고 이해하기 쉽습니다.
- ✅ 구현이 빠르고 쉽습니다.
- ✅ 특별한 계산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단점
- ❌ 자주 사용되던 데이터라도 오래됐다는 이유로 제거될 수 있습니다.
- ❌ 최근에 사용되지 않은 데이터가 남아 있을 수도 있습니다.
- ❌ 프로그램의 데이터 접근 패턴과 맞지 않으면 성능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 마무리
- ✅ ``` FIFO는 먼저 들어온 데이터를 먼저 내보내는 페이지 교체 알고리즘입니다.
- ✅ 단계별로 남아 있는 참조 순서를 먼저 보여주면 진행 상황을 직관적으로 이해하기 쉽습니다.
- ✅ 규칙이 단순해서 배우기 쉽고, 구현하기도 쉽습니다.
- ✅ 다만, 자주 쓰이는 데이터도 오래됐다는 이유로 제거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해야 합니다.
반응형
'정보처리기사 > 페이지 교체 알고리즘' 카테고리의 다른 글
[페이지 교체]LFU(Least Frequently Used) 방법 정리! (0) | 2025.07.12 |
---|---|
운영체제 메모리 페이징 방법:LRU 알고리즘 완벽 이해 (0) | 2025.07.03 |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
TAG
- 알고리즘기초
- C++
- dfs
- 동적계획법
- 코딩
- Python
- 그리디
- c++알고리즘
- DP
- 알고리즘 문제풀이
- 동적 계획법
- 파이썬코딩
- 프로그래밍
- 문자열처리
- 문제풀이
- 코딩테스트
- c언어
- 백준
- 알고리즘
- 문제 풀이
- 알고리즘문제풀이
- C++ 알고리즘
- 객체지향
- 그래프 탐색
- 그리디알고리즘
- 파이썬
- 인접 행렬
- 코딩 테스트
- 브루트포스
- python 알고리즘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글 보관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