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 LFU 페이지 교체 알고리즘
📖 페이지 교체란 무엇인가?
컴퓨터는 프로그램 실행 중 필요한 데이터를 메모리에 불러와서 작업합니다.하지만 메모리의 크기는 한정돼 있어서, 새로운 데이터를 불러와야 할 때 이미 가득 찼다면 기존 데이터를 하나 제거해야 합니다.
이때 어떤 데이터를 제거할지를 결정하는 규칙을 페이지 교체 알고리즘이라고 부릅니다.
이 글에서는 자주 사용되지 않는 데이터를 제거하는 LFU (Least Frequently Used) 알고리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LFU란 무엇인가?
LFU는 영어로 Least Frequently Used, 즉 가장 적게 사용된 데이터부터 제거한다는 뜻입니다.메모리에 있는 데이터 각각이 지금까지 몇 번이나 사용되었는지를 기록하고, 그 수치가 가장 낮은 데이터를 제거합니다.
많이 쓰인 데이터는 남기고, 거의 쓰이지 않은 데이터부터 없애기 때문에 효율적입니다.
📖 LFU가 왜 필요한가?
메모리에 데이터를 무작위로 지우면 자주 쓰이는 데이터가 없어져 비효율적입니다.FIFO처럼 단순히 오래됐다는 이유로 지우는 것도 비효율적일 수 있습니다.
LFU는 데이터를 얼마나 자주 쓰는지를 고려하기 때문에, 불필요한 교체를 줄이고 성능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됩니다.
📖 LFU의 작동 원리
LFU의 기본 동작은 다음과 같습니다.- ✅ 메모리에 있는 데이터마다 사용 횟수를 기록합니다.
- ✅ 메모리에 데이터가 들어오면 횟수를 1로 시작합니다.
- ✅ 메모리에서 데이터를 사용할 때마다 횟수를 1씩 더합니다.
- ✅ 메모리가 가득 찼다면, 가장 적게 사용된 데이터부터 제거합니다.
- ✅ 사용 횟수가 같은 데이터가 여러 개라면 보통 오래된 데이터를 먼저 제거합니다.
📖 예시로 배우기
이제 구체적인 예시를 통해 LFU가 어떻게 동작하는지 단계별로 살펴보겠습니다.📄 전제 조건
- 메모리 크기: 3개(프레임 3개)
- 페이지 참조 순서:
4, 3, 2, 4, 3, 1, 4, 3, 5, 6데이터를 불러올 때 메모리에 없으면 페이지 폴트, 메모리에 있으면 페이지 히트가 발생합니다.
📖 단계별 과정 — 매 단계마다 남은 데이터부터 보기
🔷 1단계
- 📜 남은 참조 순서:
4, 3, 2, 4, 3, 1, 4, 3, 5, 6
- 🔗 이번에 불러올 데이터:
4
- 행동: 메모리에
4
가 없으니 추가하고 사용 횟수를 1로 기록합니다. (페이지 폴트) - 📌 메모리 상태:
[4]
(4=1
)
🔷 2단계
- 📜 남은 참조 순서:
3, 2, 4, 3, 1, 4, 3, 5, 6
- 🔗 이번에 불러올 데이터:
3
- 행동: 메모리에
3
이 없으니 추가하고 사용 횟수를 1로 기록합니다. (페이지 폴트) - 📌 메모리 상태:
[4, 3]
(4=1, 3=1
)
🔷 3단계
- 📜 남은 참조 순서:
2, 4, 3, 1, 4, 3, 5, 6
- 🔗 이번에 불러올 데이터:
2
- 행동: 메모리에
2
가 없으니 추가하고 사용 횟수를 1로 기록합니다. (페이지 폴트) - 📌 메모리 상태:
[4, 3, 2]
(4=1, 3=1, 2=1
)
🔷 4단계
- 📜 남은 참조 순서:
4, 3, 1, 4, 3, 5, 6
- 🔗 이번에 불러올 데이터:
4
- 행동:
4
는 메모리에 있으니 사용 횟수를 2로 증가시킵니다. (페이지 히트) - 📌 메모리 상태:
[4, 3, 2]
(4=2, 3=1, 2=1
)
🔷 5단계
- 📜 남은 참조 순서:
3, 1, 4, 3, 5, 6
- 🔗 이번에 불러올 데이터:
3
- 행동:
3
은 메모리에 있으니 사용 횟수를 2로 증가시킵니다. (페이지 히트) - 📌 메모리 상태:
[4, 3, 2]
(4=2, 3=2, 2=1
)
🔷 6단계
- 📜 남은 참조 순서:
1, 4, 3, 5, 6
- 🔗 이번에 불러올 데이터:
1
- 행동: 메모리가 가득 찼습니다. 가장 적게 사용된
2
를 제거하고1
을 추가합니다. (페이지 폴트) - 📌 메모리 상태:
[4, 3, 1]
(4=2, 3=2, 1=1
)
🔷 7단계
- 📜 남은 참조 순서:
4, 3, 5, 6
- 🔗 이번에 불러올 데이터:
4
- 행동:
4
는 메모리에 있으니 사용 횟수를 3으로 증가시킵니다. (페이지 히트) - 📌 메모리 상태:
[4, 3, 1]
(4=3, 3=2, 1=1
)
🔷 8단계
- 📜 남은 참조 순서:
3, 5, 6
- 🔗 이번에 불러올 데이터:
3
- 행동:
3
은 메모리에 있으니 사용 횟수를 3으로 증가시킵니다. (페이지 히트) - 📌 메모리 상태:
[4, 3, 1]
(4=3, 3=3, 1=1
)
🔷 9단계
- 📜 남은 참조 순서:
5, 6
- 🔗 이번에 불러올 데이터:
5
- 행동: 메모리가 가득 찼습니다. 가장 적게 사용된
1
을 제거하고5
를 추가합니다. (페이지 폴트) - 📌 메모리 상태:
[4, 3, 5]
(4=3, 3=3, 5=1
)
🔷 10단계
- 📜 남은 참조 순서:
6
- 🔗 이번에 불러올 데이터:
6
- 행동: 메모리가 가득 찼습니다. 가장 적게 사용된
5
를 제거하고6
을 추가합니다. (페이지 폴트) - 📌 메모리 상태:
[4, 3, 6]
(4=3, 3=3, 6=1
)
📖 최종 결과
- 최종 메모리 상태:
[4, 3, 6]
- 페이지 폴트 발생 횟수: 6회
- 페이지 히트 발생 횟수: 4회
📖 LFU의 장점과 단점
장점
- ✅ 자주 쓰이는 데이터는 오래 유지됩니다.
- ✅ 불필요한 교체가 줄어듭니다.
단점
- ❌ 오래전에 많이 쓰였지만 최근에는 쓰이지 않는 데이터가 남아있을 수 있습니다.
- ❌ 사용 횟수를 계산해야 하기 때문에 구현이 더 복잡합니다.
📖 마무리
- ✅ LFU는 “가장 적게 사용된 데이터부터 제거”하는 알고리즘입니다.
- ✅ 매 단계마다 남아 있는 참조 순서를 먼저 보고 현재 처리할 데이터를 이해하면 흐름을 쉽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 ✅ 자주 쓰이는 데이터는 지키고, 거의 쓰이지 않는 데이터를 지우기 때문에 효율적입니다.
혹시 FIFO, LRU, OPT와의 비교 글이나 더 많은 예제가 필요하다면 요청해 주세요.
다음 글에서 더 심화된 내용을 다뤄 드리겠습니다.
반응형
'정보처리기사 > 페이지 교체 알고리즘' 카테고리의 다른 글
FIFO 페이지 교체 알고리즘 (0) | 2025.07.13 |
---|---|
운영체제 메모리 페이징 방법:LRU 알고리즘 완벽 이해 (0) | 2025.07.03 |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
TAG
- 알고리즘기초
- 인접 행렬
- 알고리즘
- 동적 계획법
- 코딩테스트
- 브루트포스
- 문제 풀이
- 문자열처리
- 파이썬코딩
- 알고리즘문제풀이
- 코딩
- Python
- c언어
- 알고리즘 문제풀이
- 그리디
- dfs
- C++ 알고리즘
- 파이썬
- DP
- c++알고리즘
- C++
- 그래프 탐색
- 그리디알고리즘
- 코딩 테스트
- 문제풀이
- 객체지향
- 동적계획법
- python 알고리즘
- 백준
- 프로그래밍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글 보관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