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HTML 태그와 요소 완벽 정리: 빈 요소, 블록 요소, 인라인 요소까지
1. HTML 문서의 기본 단위
HTML은 웹 페이지를 구성하는 가장 기본적인 언어이며,모든 웹 콘텐츠는 “태그(Tag)”와 “요소(Element)”라는 두 개의 기본 단위로 이루어집니다.
즉, 웹 문서 한 줄 한 줄이 전부 요소의 집합이며,
이 요소들은 태그를 통해 정의된 의미 있는 구조 단위입니다.
2. 태그(Tag)란 무엇인가
태그(Tag)는 HTML에서 콘텐츠의 역할이나 의미를 표시하기 위한 기호입니다.태그는 꺾쇠 괄호(`< >`)로 감싸서 작성하며, 대부분 쌍으로 열고 닫습니다.
기본 형태는 다음과 같습니다.
<태그이름>내용</태그이름>
예시:
<h1>안녕하세요</h1>
- <h1> → 여는 태그(Opening Tag)
- </h1> → 닫는 태그(Closing Tag)
- “안녕하세요” → 태그 내부의 콘텐츠
이 한 줄 전체가 브라우저에서 “제목으로 표시되는 구조”가 됩니다.
3. 요소(Element)란 무엇인가
요소(Element)는 하나의 HTML 단위 구조를 말하며,“태그 + 콘텐츠 + 속성(attribute)”이 포함된 완성된 구조 덩어리입니다.
즉,
태그(Tag)는 ‘기호’, 태그(Tag)는 ‘기호’, 요소(Element)는 ‘그 기호로 감싸진 실제 내용과 의미 있는 구조’입니다.
예시:
<p>이것은 문단입니다.</p>
이 문장은 하나의 요소(Element)이며, 구성은 다음과 같습니다.
즉, 태그는 껍데기이고, 요소는 껍데기 + 내용이 합쳐진 실질적인 HTML 단위입니다.
4. 빈 요소(Empty Element)
빈 요소(Empty Element)는 내용이 없는,즉 여는 태그와 닫는 태그 사이에 아무것도 들어가지 않는 요소입니다.
이들은 스스로 닫히는(self-closing) 형태를 가지며,
</태그이름>이 없습니다.
대표적인 빈 요소 목록:
예시:
<img src="photo.jpg" alt="풍경 이미지" />
<br />
<hr />
- <img>는 이미지를 삽입하지만 내부 콘텐츠가 없으므로 닫는 태그가 없습니다.
- <br>는 줄을 바꾸는 기능을 수행하지만 내용이 없으므로 비어 있습니다.
5. 요소의 표시 방식
HTML 요소는 브라우저에서 공간을 차지하는 방식에 따라 크게 두 가지로 나뉩니다.- 블록(Block) 요소
- 인라인(Inline) 요소
이 구분은 CSS나 레이아웃 설계에 매우 중요합니다.
6. 블록 요소(Block Element)
블록 요소는 화면 상에서 한 줄 전체를 차지하는 형태로 표시됩니다.즉, 한 블록 요소가 끝나면 자동으로 줄바꿈(Line Break)이 일어납니다.
특징
- 한 줄 전체를 독점함
- 자동 줄바꿈 발생
- 내부에 인라인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
- 레이아웃의 큰 구조를 만드는 데 사용
대표적인 블록 요소
예시
<div>
<h1>공지사항</h1>
<p>오늘부터 새로운 업데이트가 시작됩니다.</p>
</div>
화면 표시 결과:
- <div>는 하나의 구획을 형성
- <h1>은 제목으로 한 줄 전체를 차지
- <p>는 그 아래 단락으로 줄바꿈되어 표시됨
7. 인라인 요소(Inline Element)
인라인 요소는 블록 요소와 달리 자신이 필요한 만큼의 공간만 차지합니다.즉, 인라인 요소는 줄바꿈 없이 같은 줄에 여러 개 나란히 표시됩니다.
특징
- 줄바꿈이 자동으로 발생하지 않음
- 텍스트나 다른 인라인 요소와 함께 같은 줄에 배치됨
- 블록 요소 안에 포함되어 사용 가능
- 블록 요소를 내부에 포함할 수 없음
대표적인 인라인 요소
예시
<p>이 문장은 <strong>중요한</strong> 부분이 <em>강조</em>되어 있습니다.</p>
결과:
이 문장은 중요한 부분이 강조되어 있습니다.
- <strong>과 <em>은 인라인 요소이므로 문장 안에 자연스럽게 들어갑니다.
- 줄바꿈 없이 한 문장 안에서 함께 표시됩니다.
8. 블록 요소 vs 인라인 요소 비교
9. 예시로 보는 차이점
<div>
<p>블록 요소 예시입니다.</p>
<p>이 문단은 자동으로 줄바꿈됩니다.</p>
</div>
<p>
인라인 요소 예시:
<strong>굵게</strong>,
<em>기울임</em>,
<a href="#">링크</a>
</p>
결과 요약:
- <p> 블록 요소는 각각 한 줄 전체를 차지하며 줄이 바뀝니다.
- <strong>, <em>, <a> 인라인 요소는 문장 안에서 자연스럽게 연결됩니다.
10. 요약 및 결론
결론:
HTML 문서는 태그로 구성되고, 태그가 요소를 형성합니다.
요소는 공간 차지 방식에 따라 블록과 인라인으로 나뉘며,
이 두 가지를 적절히 조합하면 의미 있고 구조적인 웹 페이지를 만들 수 있습니다.
즉, 태그는 의미의 약속, 요소는 구조의 단위, 블록과 인라인은 시각적 표현의 원리입니다.
반응형
'구름 > 따라하며 배우는 html,css' 카테고리의 다른 글
| CSS margin, padding, border 완벽 정리 (0) | 2025.11.10 |
|---|---|
| CSS 가상 요소(Pseudo-Element) 완벽 정리 (0) | 2025.11.10 |
| CSS 가상 클래스(Pseudo-Class) 완벽 정리 (0) | 2025.11.10 |
| HTML의 구조 완벽 정리: head, link, meta, style, title, body (0) | 2025.11.10 |
| HTML:시맨틱 요소(Semantic Element)란? (0) | 2025.11.10 |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
TAG
- 브루트포스
- 알고리즘기초
- 동적 계획법
- 알고리즘
- HTML
- 객체지향
- 동적계획법
- Python
- 상속
- 알고리즘문제풀이
- python 알고리즘
- 그래프 탐색
- DP
- c언어
- 프로그래밍
- 파이썬코딩
- 그리디
- 파이썬
- 그리디알고리즘
- 코딩
- 문제풀이
- 백준
- C++
- 코딩 테스트
- 문자열처리
- 알고리즘 문제풀이
- 문제 풀이
- 코딩테스트
- dfs
- 프로그래머스
|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 1 | ||||||
| 2 | 3 | 4 | 5 | 6 | 7 | 8 |
| 9 | 10 | 11 | 12 | 13 | 14 | 15 |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 30 |
글 보관함
반응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