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구름/따라하며 배우는 html,css
HTML의 구조 완벽 정리: head, link, meta, style, title, body
박완희버서커 2025. 11. 10. 12:13반응형
HTML의 구조 완벽 정리: head, link, meta, style, title, body의 역할까지
1. HTML 문서의 전체 구조
HTML 문서는 계층적인 구조(Tree Structure)를 가집니다.모든 HTML 파일은 시작 태그(`<html>`)부터 끝 태그(`</html>`)까지 감싸진 형태로 이루어집니다.
그 내부는 두 개의 큰 영역, 즉 `<head>`와 `<body>`로 나뉩니다.
<!DOCTYPE html>
<html>
<head>
<!-- 문서 정보(보이지 않음) -->
</head>
<body>
<!-- 실제 화면에 보이는 내용 -->
</body>
</html>
2. <head> 영역
<head>는 HTML 문서의 머리 부분으로,브라우저가 문서를 “어떻게 해석하고 표현할 것인지”에 필요한 메타정보(meta information)를 담고 있습니다.
이 영역은 화면에 직접 표시되지 않지만,
검색엔진, 브라우저, 소셜미디어, 접근성 프로그램이 문서를 이해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합니다.
기본 구조 예시
<head>
<meta charset="UTF-8">
<meta name="description" content="HTML 구조를 설명하는 예제">
<meta name="author" content="홍길동">
<meta name="viewport" content="width=device-width, initial-scale=1.0">
<title>HTML 구조 정리</title>
<link rel="stylesheet" href="style.css">
<style>
body { font-family: Arial, sans-serif; }
</style>
</head>
3. <meta> — 문서의 속성 및 정보
<meta> 태그는 문서 자체의 정보(메타데이터)를 정의합니다.이 정보는 브라우저가 문자 인코딩, 페이지 크기, 작성자 정보 등을 파악하는 데 사용됩니다.
예시 설명:
charset="UTF-8": 모든 언어 문자를 올바르게 표시하도록 설정- viewport : 모바일 기기에서 화면 비율을 맞춰 반응형으로 표시
4. <title> — 문서의 제목
<title> 태그는 브라우저 탭이나 즐겨찾기에서 표시되는 문서의 이름을 정의합니다.<title>HTML 구조 정리</title>
- 사용자는 페이지 상단 탭에서 이 제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검색엔진(예: 구글)도 이 내용을 페이지 제목으로 인식하여 검색 결과에 노출합니다.
5. <link> — 외부 자원 연결
<link> 태그는 HTML 문서와 외부 파일(리소스)을 연결할 때 사용합니다.대표적으로 CSS 파일, 아이콘, 폰트 등을 연결합니다.
<link rel="stylesheet" href="style.css">
즉, <link>는 HTML이 외부 자원과 협력하도록 연결해주는 다리 역할을 합니다.
6. <style> — 내부 스타일 정의
<style> 태그는 HTML 문서 내부에서 CSS를 직접 작성할 때 사용합니다.<style>
body {
background-color: #f4f4f4;
color: #333;
}
h1 {
font-size: 2em;
color: steelblue;
}
</style>
- 내부 스타일 방식(internal CSS): 문서 안에 스타일을 직접 작성하는 방식
- 소규모 문서에는 유용하지만,
여러 페이지에 적용해야 할 때는 <link>로 외부 CSS 파일을 연결하는 것이 효율적입니다.
7. <body> — 실제 콘텐츠 영역
<body>는 사용자가 실제로 화면에서 보는 모든 콘텐츠가 들어가는 영역입니다.텍스트, 이미지, 버튼, 표, 동영상 등
화면에 나타나는 모든 HTML 요소가 <body> 안에 들어갑니다.
예시:
<body>
<h1>HTML 기본 구조</h1>
<p>이 문서는 HTML의 기본 구성 요소를 설명합니다.</p>
<img src="example.jpg" alt="HTML 예시 이미지">
<button>클릭하세요</button>
</body>
브라우저는 <body>에 포함된 내용만 화면에 출력하며,
<head> 영역은 보이지 않지만 기능적으로 함께 작동합니다.
8. 전체 예시 — HTML 구조 완성형
<!DOCTYPE html>
<html lang="ko">
<head>
<meta charset="UTF-8">
<meta name="description" content="HTML 구조와 head, body 태그 설명">
<meta name="author" content="홍길동">
<meta name="viewport" content="width=device-width, initial-scale=1.0">
<title>HTML 문서 구조</title>
<link rel="stylesheet" href="style.css">
<style>
body { font-family: Arial, sans-serif; margin: 20px; }
h1 { color: darkblue; }
</style>
</head>
<body>
<h1>HTML 구조 이해하기</h1>
<p>HTML 문서는 head와 body로 구성되며, 각각의 역할이 다릅니다.</p>
<ul>
<li>head: 문서 정보 및 설정</li>
<li>body: 실제 콘텐츠 표시</li>
</ul>
</body>
</html>
브라우저 표시 결과:
- 제목: 브라우저 탭에 “HTML 문서 구조” 표시
- 본문: <h1> 제목, <p> 설명, <ul> 목록이 화면에 표시
9. 요약 및 결론
결론:
HTML의 구조는 단순히 태그들의 나열이 아니라,
정보(head)와 표현(body)을 명확히 구분하는 체계적 구조입니다.
<head>는 “보이지 않는 설정의 영역”, <body>는 “보이는 콘텐츠의 영역”이며,
이 둘이 조화롭게 구성될 때 의미 있고 완전한 웹 문서가 만들어집니다.
반응형
'구름 > 따라하며 배우는 html,css' 카테고리의 다른 글
| CSS margin, padding, border 완벽 정리 (0) | 2025.11.10 |
|---|---|
| CSS 가상 요소(Pseudo-Element) 완벽 정리 (0) | 2025.11.10 |
| CSS 가상 클래스(Pseudo-Class) 완벽 정리 (0) | 2025.11.10 |
| HTML 태그와 요소 완벽 정리: 빈 요소, 블록 요소, 인라인 (0) | 2025.11.10 |
| HTML:시맨틱 요소(Semantic Element)란? (0) | 2025.11.10 |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
TAG
- 상속
- 알고리즘 문제풀이
- C++
- dfs
- 그리디
- 백준
- 프로그래머스
- python 알고리즘
- HTML
- 코딩 테스트
- 문제 풀이
- 코딩
- 브루트포스
- c언어
- 알고리즘문제풀이
- 그래프 탐색
- Python
- 알고리즘
- 파이썬
- 문제풀이
- 그리디알고리즘
- 파이썬코딩
- 알고리즘기초
- 객체지향
- DP
- 문자열처리
- 프로그래밍
- 동적계획법
- 코딩테스트
- 동적 계획법
|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 1 | ||||||
| 2 | 3 | 4 | 5 | 6 | 7 | 8 |
| 9 | 10 | 11 | 12 | 13 | 14 | 15 |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 30 |
글 보관함
반응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