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 동적 계획법(Dynamic Programming)이란?
해결편: Bottom-Up 방식 (테뷸레이션 Tabulation)
⚠️ 메모이제이션의 구조적 문제
메모이제이션(Memoization)은 재귀 호출 중복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한 번 계산한 값을 기록하여,
같은 계산이 들어왔을 때 다시 재귀하지 않고 저장된 값을 반환합니다.
하지만 구조적으로 보면 다음과 같은 흐름을 갖습니다:
F(n) → F(n-1) → F(n-2) → F(n-3) → ... → F(1) → F(0) → F(1) → F(2) → ... → F(n)
- 계산을 시작하기 위해
F(n)
을 호출하면 F(n-1)
,F(n-2)
등으로 재귀 호출이 분기되며 계속 내려갑니다- 계산 자체는
F(0)
에서 시작되어, 다시F(n)
까지 올라가며 수행됩니다
이 방식은 중복 호출은 줄이지만,
계산 흐름이 내려갔다가 다시 올라오는 복잡한 구조입니다.
우리는 실제로 오른쪽 절반, 즉 F(1)
부터 F(n)
까지의 순차적인 흐름만 필요합니다.
2025.06.29 - [알고리즘/동적계획법] - 동적계획법(Dynamic Programming)이란? - 메모이제이션
동적계획법(Dynamic Programming)이란? - 메모이제이션
🌐 동적계획법(Dynamic Programming)이란?🧠 해결편: 메모이제이션🔍 재귀의 문제📌 문제 구조: 계산이 반복된다피보나치 수열을 재귀적으로 구현하면 코드가 다음과 같습니다.int fib(int n) { if (n 이
eunjin123123-programming.tistory.com
💡 Bottom-Up 방식의 핵심 아이디어
(= 테뷸레이션 Tabulation)
✅ 핵심 발상
❗ “우리가 진짜로 원하는 계산 흐름은 이거 하나다.”
→ F(1) → F(2) → ... → F(n)
그런데 메모이제이션은
굳이 F(n)
에서 시작해 F(0)
까지 내려갔다가,
그제야 위 흐름을 다시 계산합니다.
🧠 그래서 이렇게 사고를 전환합니다:
“처음부터F(0)
과F(1)
을 알고 있으니,
그걸 기반으로F(2)
,F(3)
…F(n)
까지 차례대로 쌓아가면 되는 것 아닌가?”
✔️ 그러면 어떻게 구현할 수 있는가?
- 계산 결과를 저장할 배열을 준비합니다
F(0)
,F(1)
은 초기값으로 직접 넣습니다- 그다음
F(2)
부터는
→ 저장된F(i-1)
,F(i-2)
를 참조해서 계산
→ 새로운 결과를 배열에 저장
이렇게 순서대로 쌓아가며 계산하는 방식이 바로
Bottom-Up 방식이며,
동적 계획법에서 이 방식을 전문 용어로 테뷸레이션(Tabulation)이라 부릅니다.
🧰 코드 구현
🔷 기본적인 테뷸레이션 방식
#include <iostream>
using namespace std;
int fib(int n) {
int dp[100];
dp[0] = 0;
dp[1] = 1;
for (int i = 2; i <= n; ++i) {
dp[i] = dp[i - 1] + dp[i - 2];
}
return dp[n];
}
int main() {
int n;
cin >> n;
cout << fib(n) << endl;
return 0;
}
F(0)
과F(1)
을 기반으로F(2)
부터F(n)
까지 순서대로 계산- 중간 결과는 배열에 저장, 다음 계산에 활용
- 재귀 없이, 반복문만으로 처리
🔷 공간 최적화된 테뷸레이션
#include <iostream>
using namespace std;
int fib(int n) {
if (n <= 1) return n;
int prev2 = 0; // F(n-2)
int prev1 = 1; // F(n-1)
int current;
for (int i = 2; i <= n; ++i) {
current = prev1 + prev2;
prev2 = prev1;
prev1 = current;
}
return current;
}
int main() {
int n;
cin >> n;
cout << fib(n) << endl;
return 0;
}
- 배열 없이 변수 2개만 사용
- 공간 복잡도 O(1)
- 동적 계획법의 최적 형태 중 하나
📊 수치 비교
입력값 n |
단순 재귀 호출 수 | 메모이제이션 호출 수 | Bottom-Up 반복 횟수 |
---|---|---|---|
5 | 15 | 6 | 4 |
10 | 177 | 11 | 9 |
20 | 21,891 | 21 | 19 |
30 | 2,692,537 | 31 | 29 |
40 | 약 331,160,281 | 41 | 39 |
- Bottom-Up은 호출 자체가 없음
- 반복문만으로 순차 계산
- 중복 없음
- 재귀 스택 없음
✅ 요약 및 마무리
- 메모이제이션(Memoization)은 재귀 구조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계산 결과를 저장하여 중복 계산을 피하는 방식입니다.
구조적으로는 내려갔다가 올라오는 왕복 흐름을 가집니다. - Bottom-Up 방식, 또는 테뷸레이션(Tabulation)은
애초에 우리가 원하는 계산 흐름→ F(1) → F(2) → ... → F(n)
만 따라가겠다는 전략입니다. - 중간 결과를 저장하면서 순서대로 계산을 진행하고,
재귀 없이 반복문만으로 구현 가능합니다. - 구조가 더 단순하고, 메모리도 더 효율적이며,
시간 복잡도도 동일하게 O(n)입니다.
✅ 테뷸레이션은 동적 계획법의 본질을
가장 직관적이고 깔끔하게 구현한 형태입니다.
반응형
'알고리즘 > 동적계획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분수열의 합: DFS의 문제점과 DP로의 전환 (0) | 2025.07.22 |
---|---|
동적계획법(Dynamic Programming)이란? - 메모이제이션 (0) | 2025.06.29 |
동적계획법(Dynamic Programming)이란? 문제편 (0) | 2025.06.29 |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
TAG
- 알고리즘기초
- DP
- 백준
- c++알고리즘
- C++
- C++ 알고리즘
- 프로그래밍
- 파이썬
- 코딩테스트
- dfs
- 알고리즘문제풀이
- 동적계획법
- c언어
- 객체지향
- 알고리즘 문제풀이
- 문제풀이
- 동적 계획법
- 코딩 테스트
- 브루트포스
- Python
- 인접 행렬
- 그래프 탐색
- python 알고리즘
- 문자열처리
- 파이썬코딩
- 알고리즘
- 코딩
- 그리디알고리즘
- 그리디
- 문제 풀이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글 보관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