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 BOJ 10431 : 줄세우기 (C++)
📌 문제 설명
🔍 문제 상황
초등학교 선생님 강산이는 새 학기가 시작되면 아이들을 키 순서대로 줄세워 번호를 부여합니다.
가장 키가 작은 아이는 1번, 가장 큰 아이는 20번이 됩니다.
항상 반에는 정확히 20명의 학생이 있고, 키가 같은 학생은 없습니다.
하지만 새학기 초에는 아이들이 자신의 정확한 키 순서를 모르기 때문에, 혼란스럽게 줄을 섭니다.
👣 줄 세우는 방식 (삽입 정렬과 유사)
- 한 명을 먼저 줄의 맨 앞에 세운다.
- 다음 학생은 항상 줄의 맨 뒤에 와서,
- 앞에 있는 학생들 중 자신보다 키가 큰 학생이 있다면, 그들 중 가장 앞에 있는 학생(A) 바로 앞에 들어가야 한다.
- 이때, A부터 뒤의 모든 학생은 뒤로 한 칸씩 밀려야 한다.
❓ 목표
이 과정을 통해 학생들이 줄을 설 때 총 몇 명이 뒤로 밀리는지를 계산하는 문제입니다.
💡 문제 아이디어
이 문제는 사실상 삽입 정렬의 변형입니다.
arr[k]
를 삽입 대상 (pivot)이라고 보고,- 이 값을 왼쪽에 있는 값들과 비교하여 올바른 위치(min)를 찾고,
- 그 자리에 끼워넣기 위해 나머지 값을 한 칸씩 뒤로 미는 과정을 거칩니다.
- 이때 한 칸씩 밀리는 횟수 = 이동 횟수가 되므로, 그걸 누적합으로 구합니다.
💻 전체 코드
#include <iostream> using namespace std; int main(void) { int T; // 테스트 케이스 개수 cin >> T; for (int t = 0; t < T; t++) { int case_num; cin >> case_num; int arr[20]; for (int i = 0; i < 20; i++) cin >> arr[i]; int total_moves = 0; for (int k = 1; k < 20; k++) { int pivot = arr[k]; int min = k; for (int j = k - 1; j >= 0; j--) { if (pivot < arr[j]) min = j; else break; } for (int j = k - 1; j >= min; j--) arr[j + 1] = arr[j]; arr[min] = pivot; total_moves += k - min; } cout << case_num << " " << total_moves << endl; } return 0; }
🧠 코드 상세 해설
📌 줄세우기 핵심 로직: for (int k = 1; k < 20; k++)
한 명씩 줄의 뒤에서 앞을 살펴보고 자신의 자리를 찾아 들어가는 과정입니다.
🎬 [k = 19] 일 때 완전 애니메이션 설명
🔹 예제 입력
3 901 902 903 904 905 906 907 908 909 910 911 912 913 914 915 916 917 918 919 900
🔸 목표
pivot = 900
을 제자리에 넣는다.- 앞에 있는 모든 학생들보다 키가 작다.
- 따라서 맨 앞에 서야 하며, 앞에 19명이 전부 한 칸씩 밀려야 함.
📦 배열 상태 (k = 19 시작)
[ 901 ][ 902 ][ 903 ] ... [ 919 ][ 900 ] ↑ k = 19 pivot = 900
🔍 j 비교과정 (하나도 생략하지 않음)
for (int j = k - 1; j >= 0; j--)
j=18: 900 < 919 → min = 18 j=17: 900 < 918 → min = 17 ... j=1: 900 < 902 → min = 1 j=0: 900 < 901 → min = 0
💨 한 칸씩 뒤로 밀기 (arr[j+1] = arr[j])
Step 1: arr[19] = arr[18] → 919 복사 [ ..., 918, 919 ] → [ ..., 918, 918 ] Step 2: arr[18] = arr[17] → 918 복사 [ ..., 917, 918, 918 ] ... Step 19: arr[1] = arr[0] [ 901, 901, ... ]
✅ pivot(900) 삽입
[ 900 ][ 901 ][ 902 ] ... [ 918 ][ 919 ] ↑ min
🧮 이동 횟수 계산
total_moves += k - min; // 19 - 0 = 19
✅ 정답 출력 예시
3 19
📚 정리
용어 | 의미 |
---|---|
pivot | 현재 삽입 대상 학생의 키 |
j | 앞에서 pivot보다 큰 학생을 찾기 위한 포인터 |
min | 삽입될 위치 |
이동 수 | pivot을 위해 뒤로 밀려난 학생 수 (k - min ) |
✍️ 마치며
이 문제는 단순한 정렬 문제가 아닙니다.
- 실제 아이들이 줄서며 자리를 찾아가는 과정이
- 삽입 정렬과 어떻게 연결되는지 직접적으로 보여줍니다.
- 이 문제를 풀면서 삽입 정렬의 핵심 원리를
- 직관적으로 이해하게 되는 매우 훌륭한 사례입니다.
반응형
'백준 스터디' 카테고리의 다른 글
BOJ 1713 : 후보 추천하기 (Python) (0) | 2025.06.27 |
---|---|
BOJ 10431 : 줄세우기 (Python) (0) | 2025.06.27 |
백준 4963번, 섬의 개수 Python 풀이 (1) | 2025.06.26 |
백준 10974번: 모든 순열 풀이 Python (0) | 2025.06.26 |
백준 4963번, 섬의 개수 — C++ 풀이 (0) | 2025.06.26 |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
TAG
- c언어
- Python
- 객체지향
- 그리디
- 문자열처리
- C++ 알고리즘
- python 알고리즘
- 동적계획법
- 문제 풀이
- 코딩 테스트
- 파이썬코딩
- c++알고리즘
- 알고리즘기초
- DP
- 그리디알고리즘
- 인접 행렬
- 파이썬
- 알고리즘
- 그래프 탐색
- 코딩테스트
- 문제풀이
- 알고리즘문제풀이
- 코딩
- 알고리즘 문제풀이
- 동적 계획법
- C++
- 백준
- 프로그래밍
- dfs
- 브루트포스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글 보관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