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백준 에디터 1406 파이썬
문제 설명
문제
한 줄로 된 문자열과 입력 명령들이 주어진다. 커서는 문자의 사이(맨 앞과 맨 뒤 포함)에 위치할 수 있다. 아래의 명령어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L
: 커서를 왼쪽으로 한 칸 옮김 (커서가 맨 앞이면 무시됨)D
: 커서를 오른쪽으로 한 칸 옮김 (커서가 맨 뒤이면 무시됨)B
: 커서 왼쪽에 있는 문자를 삭제함 (커서가 맨 앞이면 무시됨)P $
:$
라는 문자를 커서 왼쪽에 추가함
테스트케이스
abcd
3
P x
L
P y
문제 작동원리
초기 상태 (문자열 abcd
, 커서는 맨 뒤에 위치)
a b c d _
- 문자열이
abcd
이고,_
는 커서를 의미합니다. - 입력 직후에는 항상 커서가 문자열 맨 끝에 있습니다.
(1) P x
실행
- 명령어
P
는 문자를 커서 왼쪽에 삽입합니다. - 현재 커서는 맨 뒤(
_
)에 있으므로, `'x'`가 `'d'` 뒤에 삽입됩니다.
a b c d x_
- 따라서 문자열은 `"abcdx"`가 되고, 커서는 여전히 `'x'` 뒤에 있습니다.
(2) L
실행
- 명령어
L
은 커서를 왼쪽으로 한 칸 이동시킵니다. - 원래 커서는 `'x'` 뒤에 있었는데, 한 칸 왼쪽으로 이동하면서 `'x'`의 앞, 즉 `'d'`와 `'x'` 사이로 이동합니다.
a b c d _ x
- 이제 커서는 `'d'`와 `'x'` 사이에 있습니다.
(3) P y
실행
- 명령어
P
는 문자를 커서 왼쪽에 삽입합니다. - 현재 커서는 `'d'`와 `'x'` 사이에 있으므로, `'y'`가 그 위치에 삽입됩니다.
a b c d y_ x
- 따라서 최종 문자열은 `"abcdyx"`가 됩니다.
문제풀이 아이디어
이 문제는 문자열 편집기를 구현하는 시뮬레이션 문제입니다. 문자열의 중간 삽입, 삭제, 커서 이동을 빠르게 처리해야 하므로 연결리스트(list 컨테이너)를 사용하는 것이 적합합니다.
- 파이썬의 이중 연결 리스트를 직접 구현하여 삽입과 삭제가 O(1) 시간에 가능하도록 합니다.
- 커서는 노드를 가리키는 변수로 표현합니다.
- 커서의 이동은 `lt.prev`, `lt.next`로 처리합니다.
- `erase`와 `insert`는 커서가 가리키는 노드를 기준으로 처리됩니다.
전체코드
import sys
class Node:
def __init__(self, ch=None):
self.ch = ch
self.prev = None
self.next = None
class LinkedList:
def __init__(self):
self.head = Node()
self.tail = Node()
self.head.next = self.tail
self.tail.prev = self.head
def insert(self, lt, ch):
new_node = Node(ch)
prev_node = lt.prev
prev_node.next = new_node
new_node.prev = prev_node
new_node.next = lt
lt.prev = new_node
def erase(self, lt):
if lt.prev == self.head:
return lt
target = lt.prev
target.prev.next = lt
lt.prev = target.prev
return lt
def to_string(self):
cur = self.head.next
result = []
while cur != self.tail:
result.append(cur.ch)
cur = cur.next
return "".join(result)
arr = sys.stdin.readline().strip()
N = int(sys.stdin.readline().strip())
st = LinkedList()
for c in arr:
st.insert(st.tail, c)
lt = st.tail
for _ in range(N):
cmd = sys.stdin.readline().strip().split()
k = cmd[0]
if k == 'L' and lt.prev != st.head:
lt = lt.prev
elif k == 'D' and lt != st.tail:
lt = lt.next
elif k == 'B':
lt = st.erase(lt)
elif k == 'P':
ch = cmd[1]
st.insert(lt, ch)
print(st.to_string())
개별코드
1. 초기 문자열 입력 및 리스트 생성
st = LinkedList()
for c in arr:
st.insert(st.tail, c)
lt = st.tail
- 입력받은 문자열을 직접 구현한
LinkedList
에 삽입합니다. - 커서(
lt
)는 리스트의 더미(dummy) 테일 노드에서 시작합니다. 이는 C++의list::end()
와 같은 역할을 합니다.
2. 명령어 처리
if k == 'L' and lt.prev != st.head:
lt = lt.prev
L
: 커서 노드의 이전 노드로 이동.
elif k == 'D' and lt != st.tail:
lt = lt.next
D
: 커서 노드의 다음 노드로 이동.
elif k == 'B':
lt = st.erase(lt)
B
: 커서 왼쪽 문자를 삭제. 직접 구현한erase
메소드를 호출하여 삭제하고, 반환되는 노드를 새로운 커서 위치로 갱신합니다.
elif k == 'P':
ch = cmd[1]
st.insert(lt, ch)
P
: 입력받은 문자를 커서 왼쪽에 삽입.
3. 최종 출력
print(st.to_string())
to_string()
메소드를 호출하여 리스트 전체를 문자열로 변환한 뒤 출력합니다.
결론
이 문제의 핵심은 문자열 중간 삽입·삭제를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해 **연결 리스트(LinkedList)**를 직접 구현하고, **노드를 커서처럼 사용**하는 점입니다.
- 연결 리스트는 삽입/삭제가 O(1)이라 빠릅니다.
- 노드 객체
lt
를 커서로 두어 위치를 쉽게 이동할 수 있습니다. erase
와insert
메소드를 통해 리스트 구조를 올바르게 조작해야 합니다.
👉 결국 이 문제는 **연결 리스트의 기본 동작과 파이썬 클래스 활용 능력**을 이해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반응형
'백준 스터디'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준 A와 B 2 (12919번) C++ (0) | 2025.08.22 |
---|---|
백준 25757번 임스와 함께하는 미니게임 C++ (0) | 2025.08.21 |
백준 1406 에디터 C++ (1) | 2025.08.18 |
백준 20922 겹치는 건 싫어 파이썬 (python) (3) | 2025.08.17 |
백준 20922 겹치는 건 싫어 C++ (1) | 2025.08.17 |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
TAG
- 브루트포스
- 동적계획법
- 코딩 테스트
- DP
- 알고리즘기초
- 그리디
- 문제 풀이
- 알고리즘문제풀이
- C++
- C++ 알고리즘
- Python
- 백준
- c++알고리즘
- 그리디알고리즘
- 파이썬코딩
- 프로그래밍
- 인접 행렬
- 문자열처리
- 알고리즘 문제풀이
- 파이썬
- 코딩테스트
- c언어
- 객체지향
- 동적 계획법
- python 알고리즘
- 알고리즘
- 그래프 탐색
- dfs
- 문제풀이
- 코딩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글 보관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