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ADP

데이터 거버넌스란? 개념 및 예시 총정리

박완희버서커 2025. 8. 7. 16:25
반응형
데이터 거버넌스 총정리

✅ 데이터 거버넌스란 무엇인가



1. 데이터 거버넌스의 정의

데이터 거버넌스(Data Governance)조직 내의 모든 데이터를 표준화하고, 신뢰성 있게 관리하며, 안전하게 활용하기 위한 전사적 관리 체계입니다.

이 체계는 다음을 포함합니다:

  • 데이터를 어떻게 정의하고 표준화할 것인지,
  • 누가 책임지고 관리할 것인지,
  • 어떤 기준으로 접근·변경·활용할 수 있을지,
  • 어떻게 보안과 규제를 지킬 것인지를 명확히 정해둡니다.
목적은 명확합니다:
데이터를 신뢰할 수 있게 만들고, 중복·오류·혼선을 줄여 조직이 효율적이고 일관된 의사결정을 하도록 지원하는 것입니다.


2. 핵심 키워드로 본 데이터 거버넌스 구성 요소

📌 ① 데이터 표준화

동일한 개념이 부서마다 다르게 해석되지 않도록 지표, 용어, 데이터 형식, 단위 등을 통일합니다.

예:

  • ‘고객’이라는 개념을 "가입자", "최초 구매자", "앱 설치자" 등으로 부서마다 다르게 사용하면 안 됨
  • 전사적으로 하나의 기준 정의가 필요함
왜 필요한가?
같은 데이터를 다르게 해석하면 분석 결과가 부정확해지고, 부서 간 혼선이 생기며, 경영 판단의 신뢰도가 무너집니다.


📌 ② 데이터 품질 관리

오류, 누락, 중복, 불일치 데이터를 사전에 탐지하고 수정하는 기준과 절차를 정합니다.

예:

  • 생년월일이 ‘9999-99-99’로 입력되었거나
  • 고객 이름이 ‘null’ 또는 ‘테스트’로 들어간 경우
왜 필요한가?
잘못된 데이터는 잘못된 분석을 낳고, 그 결과는 잘못된 전략으로 이어집니다. 품질 없는 데이터는 오히려 조직 리스크입니다.


📌 ③ 메타데이터 관리

데이터에 대한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관리합니다.

즉, ‘이 데이터가 어떤 의미인지’, ‘누가 만들었는지’, ‘어디서 왔는지’ 등을 설명하는 정보입니다.

예:

  • user_id라는 컬럼은 무엇을 뜻하는가?
  • 이 테이블은 언제 생성되었고, 어떤 부서에서 관리하는가?
왜 필요한가?
메타데이터가 없으면 새로 온 직원은 테이블을 해석하지 못하고, 기존 직원은 지식이 퇴사와 함께 사라지게 됩니다.


📌 ④ 데이터 보안 및 개인정보 보호

누가 어떤 데이터에 접근 가능한지, 민감정보는 어떻게 암호화하고 마스킹할 것인지, 삭제 요청 시 어떤 절차를 따를 것인지 등을 관리합니다.

예:

  • 인사정보는 HR만 접근 가능
  • 고객 주민번호는 암호화 후 접근 제한
  • GDPR 또는 개인정보보호법 준수
왜 필요한가?
데이터 유출은 기업 신뢰와 존폐를 좌우합니다. 거버넌스 없이는 법적 책임, 내부 통제 실패, 사회적 비난을 피할 수 없습니다.


3. 데이터 거버넌스는 무엇을 가능하게 하는가

가능하게 하는 것 구체적 의미
데이터 신뢰도 확보 리포트·대시보드·KPI가 부서마다 다르지 않음
일관된 의사결정 지원 분석 결과를 정확히 비교하고 실행에 옮길 수 있음
규제 준수와 리스크 감소 개인정보 보호, 감사 대응이 원활해짐
데이터 자산화 기반 마련 데이터가 자산으로 축적되고 재사용 가능해짐


4. 결론: 데이터 거버넌스가 없다면?

  • 부서마다 다른 정의
  • 누구도 책임지지 않는 데이터
  • 혼란스러운 지표
  • 중복된 분석
  • 유출 위험
  • 분석의 비효율

→ 결국, 데이터는 자산이 아닌 리스크가 됩니다.

따라서 데이터 거버넌스는 선택이 아니라 필수입니다.
데이터를 조직의 전략적 자산으로 만들고자 한다면, 반드시 먼저 데이터를 표준화하고 책임을 분명히 하며, 메타정보와 보안을 함께 설계해야 합니다.


반응형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11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글 보관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