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 산술 연산자 오버로딩: 숫자처럼 객체를 더하려면?🔷 🧭 개요: 우리가 풀어야 할 진짜 문제프로그래밍을 하다 보면, 숫자만 다루지 않고 좌표, 날짜, 복소수, 벡터 같은 복합적인 값도 다루게 됩니다.그럴 때 “a + b”처럼 자연스럽게 더할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요?하지만 우리가 직접 만든 자료형(클래스)끼리는 C++이 기본적으로 +, - 같은 연산을 허용하지 않습니다.이 글에서는 아래와 같은 질문에 차례대로 답해보겠습니다.내가 만든 객체끼리는 왜 +가 안 될까?그걸 가능하게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연산자 오버로딩은 정확히 무슨 역할을 할까?실제 코드는 어떻게 짜야 하고 어떤 방식들이 있을까?🔷 1️⃣ 문제 등장: 객체끼리 +는 왜 안 될까?우리가 C++로 2차원 좌표를 표현하는 Point..
✅ C++에서 참조자에 의한 인수 전달: 복사 없이 값을 바꾸는 똑똑한 방법C++에서 함수에 값을 넘겨줄 땐, 결과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눈에 보이지 않게 프로그램 속에서 "복사"가 일어나기 때문입니다.다음과 같은 코드에서 어떤 결과가 나올까요?void modify(int x) { x = 100;}int main() { int a = 10; modify(a); cout 결과는 a가 그대로 10입니다. 함수에서 x = 100;을 했지만,a의 값은 바뀌지 않았습니다. 왜냐하면 modify(a) 호출 시 a의 복사본이 함수로 전달되었기 때문입니다.그렇다면, 함수에서 변수의 값을 진짜로 바꾸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복사본이 아니라, 변수 그 자체를 전달하는 방법이 필요합니다.여기서 등장하는..
🔍 C++ 참조자(reference) 완전 정리: 기초부터 포인터와의 차이까지C++을 배우다 보면 어느 순간 다음과 같은 문법이 등장합니다:int& ref = x;&는 주소 연산자인 줄만 알았는데, 갑자기 변수 선언에 등장하고, 복사 없이도 값이 바뀌는 걸 보면 혼란스러울 수 있습니다.이 문법이 바로 참조자(reference)입니다.참조자는 C++의 중요한 기능 중 하나로, 값을 복사하지 않고 원래 변수 그 자체를 다룰 수 있게 해주는 도구입니다.하지만 단순한 문법 이상의 의미를 가지며, 함수 전달, 성능 최적화, 포인터와의 차이를 이해하는 데 꼭 필요한 개념입니다.이번 글에서는 참조자가 무엇이고, 왜 필요하며, 어떻게 사용되는지, 그리고포인터와 어떤 차이가 있는지까지 체계적으로 설명하겠습니다.🧠 참..
- Total
- Today
- Yesterday
- 코딩 테스트
- 브루트포스
- 문제 풀이
- python 알고리즘
- DP
- 알고리즘 문제풀이
- 그리디알고리즘
- 동적 계획법
- 파이썬코딩
- 객체지향
- dfs
- C++
- 문자열처리
- c언어
- 프로그래밍
- Python
- 코딩테스트
- 문제풀이
- 그래프 탐색
- 동적계획법
- 프로그래머스
- 상속
- 알고리즘문제풀이
- 알고리즘
- 알고리즘기초
- HTML
- 그리디
- 백준
- 코딩
- 파이썬
|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 1 | ||||||
| 2 | 3 | 4 | 5 | 6 | 7 | 8 |
| 9 | 10 | 11 | 12 | 13 | 14 | 15 |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 30 |
